티스토리 뷰
음양(陰陽)
- 사주학은 음양오행설이라고도 합니다.
- 세상천지 만물은 눈에 보이는 질과 눈에 보이지 않는 기를 불문하고 모두 음양으로 구분됩니다.
- 음양의 성질을 실제 생활에서 세분, 비교해 보면
○ 양(陽) : 태양, 기체, 정신, 화기, 하늘, 낮, 아침, 수컷, 남자,아버지, 임금, 남편, 아들, 위, 남쪽, 시작, 동적,
적극적, 홀수, 뜨겁다, 높다, 넓다, 크다, 밝다.
○ 음(陰): 물질, 습기, 차다, 땅, 낮다, 좁다, 작다, 밤, 저녁,어둡다, 암컷, 여자, 아내, 딸, 아래, 신하, 북쪽, 끝, 정적, 소극적, 짝수
오행(五行) 의 요소 및 특성
오행의 요소
- 수(水), 화(火). 목(木), 금(金), 토(土)의 5가지입니다.
- 세상만물의 물질을 이루는 기본요소 또는 태양계에 운행하는 다섯 개 행성을 일컫습니다,
- 즉, 기질을 다섯 개의 오행에 소속시켜 삼라만상의 구성요소로 삼고 이 원리에 의해 자연이 운행된다고 보는 것입니다.
- 과학적으로 응용되던 오행의 이치를 철학적으로 풀이하여 오행철학이 성립되면서 철학, 의학, 정치, 건축, 지리, 예술, 복술등의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직간접적으로 막대한 영향력을 끼쳐왔습니다.
오행의 특성
-목(木) : 나무, 봄, 발아기, 양성중의 음으로서 생물이 생성하고 성장하는 발전을 뜻하며 따뜻한 기운입니다. 또한 봄의 기상을 의미하며 자연이 생기발동하는 활동의 시기와 시작을 의미합니다.
- 화(火) : 봄, 여름, 성장기, 양성중의 양으로서 활짝피는 성숙의 작용, 성장, 활발하게 활동함을 의미하며 물질이 열화되는 작용, 뜨거운 기운입니다.
- 토( 土) : 흙, 중성, 각 계절의끝, 환절기, 음양의 복합, 귀화성(歸化性)을 지니고 토양의 계절적 변화, 찬기운과 뜨거운 기운을 동시에 가진 중화성(中和性)입니 다.
- 금(金) : 쇠, 가을, 쇠퇴기, 만물의 수렴, 결실을 의미합니다. 활발한 활동을 정리하고 마무리하는 현상, 서늘한 기운입니다.
- 수(水) : 물, 음중의 음, 겨울, 찬기운, 냉성화(冷性化)의 의미, 활동정지, 다음을 준비 하는 차분함입니다.
오행이 실제 생활에 미치는 영향
오행의상생(相生): 상생은 도와준다, 주다, 낳다, 생육하고 기른다는 의미로서, 즉 목생화(木生化)는 나무가 불을 그렇게 해 준다는 뜻입니다. 마찬가지로 화생토(火生土)는 불이 흙을, 토생금(土生金)은 흙이 금속을, 금생수(金生水)는 금속이 물을, 수생목(水生木)은 물이 나무를 그렇게 해 준다는 뜻으로서 서로가 돌아가며 서로를 도와주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이렇게 오행은 상호간 상생의 특질이 있는 것입니다.
오행의 상극(相克): 생의 반대개념으로서 서로 치고 누르고 자극하여 억제하는 관계로 통제, 견제하는 사이를 말합니다. 목극토(木克土)는 나무가 흙을 그렇게 한다 는 뜻입니다. 마찬가지로 화극금(火克金)은 불이 금속을, 금극목(金克木 )은 금속이 나무를, 수극화(水克火)는 물이 불을 그렇게 한다 는 뜻으로서 역시 서로가 돌아가며 서로를 견제하는 특질이 있습니다.
* 위 설명는 사주명리학의 아주 초보적인 개념으로서 차회에는 다른 초보적 특질에 대해 논하고자 합니다.
